6470

Exhibition

2017

 

‘6470사진관’은 사진을 매개로 예술가들과 일반인들이 함께 즐기고 소통할 수 있는 프로젝트인 엉뚱한 사진관 공모 사업에 최종 선정된 작품이다. 이 프로젝트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메세나협회, 올림푸스한국, 서울문화재단의 후원으로 진행되었다. 엉뚱한 사진관 프로젝트는 청춘 및 동시대 이슈에 관한 사진 프로젝트이다. 6470사진관은 대한민국 최저시급인 6470원에 초점을 맞춰 총 19명의 프로젝트 참가자를 선정하여 인터뷰, 인물사진, 정물사진을 촬영하였다.

 

작품 ‘나에게 6470원이란?’은  ’나에게 6470원이란?’ 물음을 통해 6470사진관 프로젝트 참가자들이 직접 본인이 생각하는 6470원에 대한 가치, 의미를 빔프로젝터로 직접 투사시켜 촬영한 인물 사진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생각들을 경험해볼 수 있다.

 

작품 ‘6470/N’ 은 프로젝트 참가자들이 아르바이트를 해서 구매했던 소중한 물건을 촬영한 사진이다. 소중한 물건들을 촬영한 후 그래픽 작업을 거쳐 6470원어치를 제외한 부분은 빨간색으로 표시하였다.

 

작품 ‘6470의 목소리’는 프로젝트 참가자들이 참여한 인터뷰 형식의 다큐멘터리 영상이다. 다큐멘터리를 통해 참가자들은 본인이 경험한 아르바이트 혹은 노동생활을 하면서 있었던 이야기와 최저시급에 대한 본인의 생각들을 말하고 있다.

 

작품 ‘6470’은 6470사진관 프로젝트를 진행해온 결과물들을 기록한 출판물이다. 프로젝트 참가자들의 인터뷰들이 스크립트 형식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인물사진, 정물사진 등 또한 기록되어있다.

 

 

 

협업 : 105호 (김현기, 신연식, 이나은)

청년세대에게 ‘돈’은 물신숭배의 대상이거나 축적 가능한 ‘자산’의 개념이 아니다. 외려 '생존' 수단이나 행복을 추구할 수 있는 기회로써 특정 물품의 소유 혹은 경험의 ‘등가교환물’ 에 가깝다. IMF 이후 경제위기를 상시적으로 체감하며 성장한 세대에게, 돈 이란 태생적으로 채무로 주어져 있거나, 불가피하게 노동을 수반하여 주어지는 경제적 ‘대가’ 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시간의 노동' 은 교환을 매개하는 공통의 척도가 되고, ‘시급’ 은 이를 산술적으로 풀어낸 노동에 대한 양적인 규정이라 하겠다. 이러한 기준을 통해 얼마간의 노동과 시간을 투입해야 원하는 것을 얻어낼 수 있는지를 짐작해볼 수 있다.

 

허나 그 액수는 젊은이들이 얻고자 하는 것을 온전히 달성하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물가에 비해 낮게 책정된 최저임금은 이들에게 교환의 정도를 축소시키며, 개인의 경제와 결부된 미래를 점점 더 빈약하고 초라한 것으로 만든다. 노동으로 인해 저당 잡힌 몸과 마음의 피로 또한 '삶의 질'을 떨어뜨리게 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이 전시는 젊은이들에게 비자발적으로 주어진 최저임금의 숫자들을 전유하여, 동시대의 세대-노동-자본 등의 담론을 환기 하고자 한다. 젊은 세대의 지워진 말들을 복원하고 드러냄으로써, 보다 주체적인 목소리를 전하고자 하는 취지로 기획되었다.

 

이번 <엉뚱한 사진관 for 대학로> 전시의 메인작가로 선정된 아티스트 105호(김현기, 신연식, 이나은)는 은밀하게 작동하는 사회구조의 모순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며, 현대사회에 함몰되어 살아가는 존재들의 목소리를 복원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젊은 창작집단이다. “우리는 하나가 되어,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사람들의 오감을 만족시키자” 라는 취지로, 2016년부터 다양한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글 정진세 (극작가, 2017 엉뚱한사진관 프로젝트 코디네이터)

"6470", 다큐멘터리, 21분 21초, 2017

"6470/N", 디지털프린트, 841 x 1189mm, 2017

"나에게 6470이란?", 디지털프린트, 841 x 1189mm, 2017

"6470의 목소리", 자가출판, 182 x 257 mm, 2017